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정보/눈이야기

원시안경의 사용시기 원시 안경의 사용 시기 원시가 시력이 나빠서 안과 병원을 찾아오는 경우란 성인에서는 그리 많지 않다. 어린이의 경우 대상을 볼 때 찡그려 본다든가, 학교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든가 아니면 부모가 보기에 시력이 나쁠 것 같다는 생각에서 아이들 데려 오는 경우 등이 있다. 40세 이후 시력이 떨어져서 병원을 찾아와 그제야 원시임을 아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시력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경우라 원시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고 하면 놀라는 경우가 많다. 미취학 어린이가 유치원에서 시력검사 결과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알게 됐고, 평소에 책 읽기에 집중력이 현저히 떨어져 검사를 하게 되었다. 현성 굴절검사 결과 R / +4.25D , L /. +4.50D, 교정시력은 1.0이 나왔다. 약시도, 사시도 발견되.. 더보기
가까운 곳을 볼 때 피로해 지는 원시 원시 원시는 조절 이완 상태에서 평행 광선이 망막 뒤에 초점을 맺도록 수렴되는 상태이다. 안축장과 안광 학계의 초점거리에 대한 정상범위가 있다고 가정하면 두 가지 유형으로 원시가 발생할 수 있다. 안축장은 정상인데 안광 학계의 초점거리가 정상보다 짧거나, 안축장은 정상보다 짧으며 안광학계의 초점거리는 정상일 수 있다. 굴절력은 정상인데 안구의 전후 길이가 짧아서 발생하는 원시의 경우 각막도 좀 적고 전방각도 좁아 급성 전방각 폐쇄성 녹내장도 잘 생긴다. 공막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시신경관도 좁아서 시신경이 유두 부종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가성 유두 부종이라고 한다. 원시에서 보이는 가성 유두 부종인 경우 원시 도수가 높고 망막정맥의 충혈이나, 면화반, 출혈 삼출물이 없다는 점 등이 진짜 유두 부종과.. 더보기
과도한 조절에 의한 일시적 근시 가성근시 가성근시 가성근시란 근시가 아니고 정시이거나 원시인데 과도한 조절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근시가 된 상태를 이야기한다. 근거리 물체를 볼 때 수정체를 감싼 모양체 근육이 수축하면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먼 거리를 볼 때는 반대로 모양체 근육이 이완돼 수정체가 얇아지는데 이 조절력이 너무 강할 때 모양체 근육의 수축상태가 유지되면서 가성 근시가 생길 수 있다. 가성근시는 오랜 시간 동안 눈의 조절력이 높아지는 근거리 작업을 장시간 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주로 어린아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가성근시는 원거리시력저하가 발생하고, 눈이 피로하고 안구통증, 두통, 어지러움 등을 동반할 수 있다. 가성근시는 일반적인 시력검사로 알아내기 힘들다. 조절 기능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시행하는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제를 넣어.. 더보기
밤에 더 안 보이는 야간근시가 생기는 이유는? 야간근시 땅거미가 질 무렵이면 누구나 조금씩은 시력이 떨어진다. 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면 밤에 운전하기가 더욱 힘들다. 별 문제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더 많기는 하지만 야간 운전 빈도가 높아지면서 이러한 상황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많은 사람들은 일상적인 대낮의 조명수준보다 조명이 낮아졌을 때 더 근시 또는 덜 원시 상태가 된다. 이것은 낮은 조명하에서 눈의 조절기전을 작용시키는 자극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원거리물체를 볼 때 조절을 완전히 이완시키기 위해서는 물체의 윤곽이 망막위에 선명한 상이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 조명이 낮아져서 물체의 윤곽이 뚜렷하지 않으면 조절이 중간거리에서 일시적으로 중지되는 경향이 있다. 어두워지거나 볼 대상이 없는 빈 공간을 보게 하면 조절이 풀리지 않고 오히려 심해.. 더보기
근시의 안경착용 시기와 근시 진행 억제 방법 근시 안경은 언제부터 착용해야 하나?6세 된 어린이가 시력검사 결과 근시임이 밝혀졌다.-0.75D정도의 근시일 때, 과연 아이는 안경을 착용해야 할까?보통 미취학 아동의 경우 근시가 발견됐다 하더라도 안경을 처방하지 않는다.대부분의 어린이들은 먼 곳보다는 가까운 곳을 많이 본다. 근시 안경의 경우 먼 거리를 잘 보기 위해 착용을 하는 것이고, 아이들의 경우 먼 거리를 선명하게 잘 봐야만 하는 이유가 딱히 없기 때문에 안경을 권유하지 않는다.공놀이를 하거나 야외에서 노는데 0.5~0.6 정도의 시력이면 큰 지장이 없다. 더구나 야외에서 노는 경우라면 안경 착용이 더 불편할 수 있다.안경으로 교정시력이 1.0이 나온 경우 시력발달에도 문제가 없으므로 안경 착용은 하지 않아도 된다.초등학생의 경우, 키가 커서.. 더보기
먼 곳이 흐릿하게 보이는 근시 근시근시는 먼 곳을 바라볼 때 물체의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히는 굴절이상이다. 근시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겪는 눈의 굴절이상이다. 근시는 안과 전문의에 의해 관리되어야 하는 중요한 안과적 질환이다.근시는 먼 곳을 바라볼 때 물체의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는 굴절이상으로, 먼 곳은 잘 안 보이고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눈을 말한다.근시의 세계적인 유병율은 8억에서 23억까지로 추정된다. 아시아 국가에서는 전 인구의 70~90%, 유럽과 미국에서는 30~40%, 아프리카에서는 10~20%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근시의 가장 흔한 증상은 먼거리가 흐릿하게 보이는 시력장애이다. 근시는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나이 들어서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백내장 등의 질환에 의해서 근시가 진행되기도.. 더보기
눈이 볼 수 있는 능력 시력 시력시력은 눈의 해상력 또는 두 개의 분리된 물체를 분리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이야기한다. 초기의 천문학자들은 두 별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1'이상 떨어져 있으면 두 별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두 별 사이의 분리도가 1'보다 적다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두 개가 아닌 하나의 별로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눈의 정상적인 해상력은 폭이 1분각인 틈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란돌트환시표는 한쪽에 틈이 있는 고리 모양으로 정상시력에 대하여 선의 폭과 틈의 간격은 1'을 이룬다. 란돌트 환시표를 환자에게 보이고 틈의 방향이 어느 곳인지 대답하도록 한다. 틈의 방향이 8가지이기 때문에 환자가 추측으로 대답한다면 정확하게 맞출 확률은 1/8이다.시력을 측정하는데 가장.. 더보기
굴절이상의 종류 : 근시, 원시, 난시 정시는 눈의 굴절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를 이야기한다. 조절 이완 상태의 정시안에서 평행 광선이 망막 위에 선명하게 집속 된다. 정시인 사람은 6m 검사 거리에서 1.0 혹은 그 이상의 양호한 시력을 가진다. 조절력이 적절하다면 40cm의 근거리에서도 시력이 똑같이 양호하다. 비정시는 눈의 굴절 상태가 정시가 아닌 경우 또는 굴절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비정시안은 평행 광선이 망막에 선명하게 결상되지 못하며, 근시, 원시 및 난시 등으로 분류된다. 근시 근시는 조절 이완 상태에서 평행 광선이 망막 앞에 선명한 상을 도록 수렴되는 상태이다. 안축장과 안광학계에 대한 초점거리가 정성적인 경우를 고려할 때 근시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안축장은 정상이지만 안광학계의 초점거리가 정상보다 짧은 굴절성 근시, 안광학계.. 더보기

반응형